벌을 키우고 있습니다

본문에 등장한 모드 목록:
Forestry for Minecraft, 포레스트리
Extra Bees, 엑스트라 비
BuildCraft, 빌드크래프트
Applied Energistics
Factorization, 팩토라이제이션
Thermal Expansion, 써멀 익스팬션
Iron Chest, 아이언 체스트

미스트크래프트까지 동원하면서 쿼리를 열심히 돌렸더니 자원이 산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즐길거리를 찾다가 현재는 양봉을 열심히 하고 있지요. 그런데… 엑스트라 비와 함께 양봉을 하다 보니 약간 사기성이 있는 컨텐츠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forestry alveary

현재 꼭대기층에 설치된 알베어리(Alveary)들입니다. 8×10 으로 80개가 자리잡고 있지요. 그 앞으로는 알베어리에 넣기 전에 일벌(Drone)들을 뽑아두기 위한 에이피어리(Apiary)들과 교배를 위한 에이피어리들이 있습니다. 현재 알베어리에 있는 벌들은 전부 Flowers가 None이라 아무것도 없이 혼자 잘 큽니다. 다만, Flowers가 None인 관계로 나무의 교배에는 쓸 수 없습니다.

forestry alveary automation

알베어리 자동화를 위한 설비입니다. 나무 파이프(Wooden Pipe)와 오타킥 게이트(Autarchic Gate)로 벌과 벌집을 뽑아내서 양봉업자 파이프(Apiarist’s Pipe)를 통해 공주벌(Princess)은 다시 알베어리로, 나머지는 전부 ME Interface로 보내버립니다. 그럼 일벌들이 없어니지 ME Cable 중간에 가지처럼 연결된 ME Export Bus로 ME Interface를 통해 모인 일벌들을 다시 알베어리로 보냅니다. 다만, ME Export Bus는 분배가 잘 이루어지지는 않아서(같은 일벌을 요구하는 ME Export Bus의 숫자가 한번에 모이는 일벌의 숫자보다 많을 경우) 어느정도 안정권에 들때까지는(일벌이이 남아서 ME Storage에 쌓이기 시작할때 까지는) 중간중간 점검이 필요하네요. 그런데 나무 파이프의 게이트 설정, 양봉업자 파이프의 분배 설정, ME Export Bus의 일벌 설정들을 알베어리마다 하다 보니 혼자서 숫자를 늘리는게 쉽지 않네요. 작업은 단순 반복이지만 워낙 숫자가 많아서… 지금도 ME Storage에는 알베어리 블록이 9000개가 넘게 쌓여있는데 이걸 어느세 다 설치할지…[…]

forestry alveary craft

ME Storage에 알베어리 블록이 쌓이게 된 원흉(?)입니다. 왼쪽의 압착기(Squeezer)와 목공 작업대(Carpenter)는 Impregnated Casing을 만들고, 오른쪽의 압착기와 목공 작업대(돌 벽돌 뒤에 가려진) 2셋트는 향기로운 판자(Scented Paneling)을 만듭니다. Impregnated Casing은 재료가 나무 뿐이라 ME Export Bus 하나로 커버가 가능한데 향기로운 판자는 나무, 밀랍(Beeswax), 로열젤리(Royal Jelly), 꽃가루(Pollen)의 4종류 아이템을 쓰다 보니 라우터 5대가 동원됬습니다. (재료 입력 4개, 완성품 추출 1개) 라우터를 쓰는 김에 머신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압착기와 목공 작업대는 2셋트 가동중입니다. 이 이상은 벌꿀이 모자라서(지금도 모자라지만) 못늘리겠네요.

extrabees advanced machines

벌의 유전자 조작을 위한 엑스트라 비의 고급 장비들입니다. 뒷쪽에 따로 떨어져 있는건 벌에서 유전자를 추출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파워드 퍼니스(Powered Furnace) 옆에는 세룸(Serum)을 복제하기 위한 리플리케이터(Replicator), 호퍼(Hopper) 2개랑 파이프가 길게 연결된건 세룸을 채우기 위한 신시사이저(Synthesizer), 그 옆으로 파이프가 연결된 곳에는 세룸을 정화하기 위한 퓨리파이어(Purifier), 그리고 퓨리파이어 옆으로 세룸을 적용하기 위한 이노큘레이터(Inoculator) 2대가 있습니다. 신시사이저와 퓨리파이어는 파이프와 게이트를 이용해서 한단계가 끝나면 자동으로 다음으로 넘어가게 되어 있습니다. 파워드 퍼니스는 필요 없는 세룸을 빈 세룸으로 만들때 사용됩니다. 내용물이 들어있는 세룸은 화로에 구워서 빈 세룸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extrabees genepool

세룸을 채우고 정화하기 위해서는 액체 DNA(Liquid DNA)가 필요합니다. 이 액체 DNA를 공급하는 곳이 바로 이곳이지요. 인덱서(Indexer)에 남아도는 일벌을 채우고, 뒷쪽의 라우터는 인덱서에서 일벌을 빼서 앞쪽의 라우터로 보냅니다. 앞쪽의 라우터는 진풀(Genepool)의 위에 있는 호퍼에 일벌들을 채웁니다. 라우터가 진풀에 직접 채우면 이상하게도 증발하는 벌들이 생겨버려서 호퍼를 경유하고 있습니다.

forestry centrifuge

벌을 키우는 이유는 당연히 부산물을 얻기 위해서겠지요. 벌을 키우면 벌집(Comb)이 나오는데 벌집은 원심분리기(Centrifuge)에서 분리를 해야 아이템들이 나옵니다. 그래서 5대의 원심분리기를 2대의 라우터를 이용해서 벌집을 집어넣고 결과물을 빼내고 있습니다. 아직은 키우는 벌들의 종류가 적어서 이정도로 커버가 되지만 나중에 벌집 종류가 많아지면 라우터를 늘려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forestry biogas engine

엑스트라비 장비들은, 특히 고급 장비들은 에너지를 엄청나게 소모합니다. 적게 먹는것도 기본이 25MJ/t이고, 많이 먹는건 100MJ/t까지도 소모합니다. 그러다 보니 발전 설비도 어마어마하게 필요하네요. 현재는 스팀 보일러(Steam Boiler)가 들어서기 전에 쓰던 바이오가스 엔진(Biogas Engine)들을 재활용해서 쓰고 있는데 이걸로도 종종 에너지가 부족한게 보입니다. 지금 현재 가동중인게 총 50대로 250MJ/t의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는데도 말이지요. 한 20대 정도 더 늘려야 하나, 아니면 다른 발전 설비를 고려해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증류기(Still) vs 정제기(Refinery)

본문에 등장한 모드 목록:
BuildCraft, 빌드크래프트
Forestry for Minecraft, 포레스트리
Plugins for Forestry, 플러그인 포 포레스트리
Thermal Expansion, 써멀 익스팬션
Industrial Craft 2 Nuclear Control

빌드크래프트의 원유(Oil)에서 정제유(Fuel)를 얻기 위한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전통적인 빌드크래프트의 정제기(Refinery)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포레스트리와 플러그인 포 포레스트리를 설치하면 쓸 수 있는 증류기(Still)를 이용하는 방법이지요. 그럼 정제기와 증류기를 이용하는 것, 어떤것이 더 좋을까요?

두 가지 방법 모두 1:1의 비율로 정제를 하기에 비율은 동등합니다. 그럼 소모되는 시간과 에너지가 관건이겠군요. 그래서 그 두가지를 비교해보기 위해서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실험실을 꾸며봤습니다.

wp_2013-04-23_00.11.19

가장 위에는 탱크가 위치합니다. 16 양동이(Bucket) 분량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고 실험 시작시 양쪽 탱크에 원유를 가득 채운 상태입니다. 스크린샷은 실험을 시작한 다음에 찍다보니 양이 줄어들었지만 동일한 조건에서 시작하였습니다.

탱크와 증류기, 정제기 사이에는 리퀴덕트(Liquiduct)가 위치합니다. 리퀴덕트는 일반 모드와 추출 모드가 있는데 추출 모드의 경우 레드스톤 신호가 있어야만 동작을 합니다. 그래서 탱크와 연결된 리퀴덕트를 추출 모드로 바꾼 후 레드스톤 레버를 설치하였습니다. 모든 설비가 완료된 후 이 레버를 당기는 것으로 양쪽이 동시에 동작을 할 수 있게끔 하였습니다.

증류기와 정제기에는 100% 충전된 레드스톤 에너지 셀(Redstone Energy Cell)을 붙였습니다. 레드스톤 에너지 셀은 에너지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기에 실험이 끝난 후 남은 충전량을 보면 에너지를 얼마나 소모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증류기와 정제기 다음에는 다시 리퀴덕트가 있고 끝에는 정제가 완료된 정제유를 담을 수 있는 탱크가 위치합니다. 증류기와 정제기의 출력단에 위치한 리퀴덕트에는 미리 레버를 당겨두어서 정제가 됨과 동시에 바로바로 빠져나가도록 해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크린샷 가장 아래에 위치한 윗 모습만 보이는 장비는 인더스트리얼 크래프트 2(IndustrialCraft 2, IC2) 추가 애드온 Nuclear Control에서 제공하는 산업 정보 패널(Industrial Information Panel)과 정보 패널 확장기(Information Panel Extender)입니다. 갑자기 왠 IC2?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겠지만, Nuclear Control의 정보 패널은 원자력 발전소의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내부에 장착하는 카드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액체 센서 키트(Liquid Sensor Kit)를 이용하여 탱크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모든 설비가 완료되었고, 가장 위에 있는 레버를 당겨서 양쪽의 설비가 동시에 동작하게끔 하였습니다. 이제 천천히 경과를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wp_2013-04-23_00.11.00

증류기와 정제기에서 나온 정제유의 정보입니다. 현재 증류기에서는 2690mB이 정제되었고, 탱크의 16%가 채워져 있습니다. 정제기에서는 1372mB이 정제되었고, 탱크의 8%가 채워져 있습니다. 그럼 조금 더 지켜보도록 합시다.

wp_2013-04-23_00.13.21

2분가량 경과, 51%와 26%, 증류기가 약 2배 가량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네요.

wp_2013-04-23_00.16.36

다시 3분가량 경과, 증류기의 정제가 끝났지만 정제기는 아직 50% 수준입니다.

wp_2013-04-23_00.23.13

추가로 7분정도가 더 흐른 후에야 정제기의 정제도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에너지 소모는 얼마나 되었는지 확인해볼까요.

wp_still_energy

먼저 증류기의 소모량입니다. 600000에서 시작해서 559003이 남아 있으니 40997MJ가 소모되었습니다.

wp_refinery_energy

이어서 정제기의 소모량입니다. 193000MJ를 소모하였군요.

정제 속도는 증류기가 2배가량 빠르고, 에너지 소모도 1/5 수준이네요. 포레스트리와 플러그인 포 포레스트리를 쓸 수 있다면 무조건 증류기를 써야 하겠습니다.

참고로 증류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레드스톤 4개, 브론즈 8개가 필요합니다. 정제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 4개, 금 4개, 철 4개가 필요하네요. 나무나 모래, 돌의 소모는 생략하였습니다. 만드는 가격도 증류기가 훨씬 저렴하군요.

이후 바이오 매스(Biomass)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Biofuel)를 정제하는 실험을 더 해봤습니다. 여기서는 반대로 정제기의 정제 시간이 약 1.7배 정도 더 빨랐습니다. 다만, 증류기는 10:3의 비율, 정제기는 4:1(12:3)의 비율이라 시간이 없는게 아니라면 정제 결과물이 적은 정제기를 구지 쓸 이유는 없겠네요. 탱크 하나 가득 채운 바이오 매스의 정제 결과로 증류기에서는 41021MJ를 소모하여 4800mB의 바이오 연료를, 정제기에서는 40000MJ를 소모하여 4000mB의 바이오 연료를 얻었습니다.

정제기는 액체 종류가 바뀌니 속도가 확연히 달라졌는데 증류기는 어떤지 궁금해져서 한가지 실험을 더 해보았습니다. 양쪽 다 증류기로 교체한 다음 한쪽에는 원유, 한쪽에는 바이오 매스를 넣고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속도의 차이는 10:3, 이걸로 판단했을때 증류기의 속도는 입력되는 액체의 양에 따른 고정 속도라 생각됩니다. 출력되는 양과는 무관하게 1버킷의 액체가 입력된다면 동일한 속도로 정제를 하는 것이지요. 다만 Oil은 1버킷이 그대로 나오고, 바이오 매스는 3/10으로 줄어들기에 10:3의 속도 차이가 생겼습니다. 에너지 소모는 거의 동등하다고 보여집니다.

정제기의 액체 종류에 따른 차이도 한번 확인해 봤습니다. 위의 결과로 원유와 바이오 매스는 대략 3.4배의 속도 차이와 1/5 정도의 에너지 소모 차이가 나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원유와 물은 어떨까요?

실험 결과 속도 차이는 10배 가량, 에너지 소모는 1/75 정도입니다. 중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정제기를 쓰는게 유리하겠네요.